금(Gold)투자 하는데 유념해야 하는 두가지
by GDBoy
2025.01.02
안녕하세요. 금동이 아빠 GDBoy입니다.
저는 10년 넘게 귀금속류 상품을 취급하는 업체에서 근무하였고, 해외(스위스)의 금을 국내에 유통하는 일도 진행한 적이 있어 오늘은 한국에서 금(Gold)에 대한 이야기를 해드리고자 합니다.
한국에서 금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직접 금을 현물로 구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KRX(한국거래소) 금시장’에서 금을 주식처럼 매매 거래하는 것입니다. 금을 현물로 구입하는 것은 본인이 매입한 금을 직접 보관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나름의 장점이 있고, KRX 금시장에서 금을 거래한다는 것은 금을 가장 싸게 매입하고 금값에 민감하게 거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직접 금을 현물로 거래하는 데 있어서 아래 두 가지를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 현물금은 장기 투자로 봐야 합니다. 샀다가 바로 팔면 10%~20% 손해 봅니다.
‘금값 = (시세+수수료) x 부가세 10%’, but 팔 때는 부가세 환급 불가 + 수수료지불
개인이 업체로부터 금을 매입할 때 업체는 보통 수수료가 포함된 ‘시세+수수료’의 금값을 제시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부가세 10%가 가산된 가격이 최종 금값이 됩니다. 그리고 개인이 금을 파는 경우 업체는 ‘시세 - 수수료’의 금값을 제시합니다. 그런데 금의 매각의 경우 개인은 부가세환급을 받을 수 없습니다. 보통 업체들이 제시하는 판매 수수료는 중량에 따라 다르고 고 3%~8% 정도가 적용됩니다. 이와 같은 계산이면 개인은 금을 살 때 시세의 15% 내외를 더 지불하고 사는 것이고 매각할 때는 시세의 약5% 내외를 덜 받고 파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금을 매입 후20% 정도 오르지 않으면 손해를 볼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산으로서 금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이유는 금은 안전자산으로서 역사적으로 지속적인 상승을 해왔고, 국내 환율 및 경제상황과는 다르게 움직임으로 자산 헷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현물금을 보유한다는 것은 단기가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한다는 것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 런던금시장(LBMA) 금시세: https://www.lbma.org.uk/prices-and-data/precious-metal-prices#/
LBMA Precious Metal Prices
International prices for gold, silver, platinum and palladium.
www.lbma.org.uk
2. 공신력 있는 브랜드의 밀봉된 포장의 금을 사야 합니다.
금은방의 금반지 금목걸이는 자산 아닌 장식품, 부가세 없는 금은 불법
우리는 보통 금을 살 때 금은방에 가서 “24K 한 돈(3.75g) 짜리 금 반지 하나 주세요.”라는 정도로 구입합니다. 그리고 금은방은 ‘시세+세공비’ 정도를 받고 금반지를 팝니다. 그리고 금반지에는 금은방에서 보증하는 보증서도 동봉됩니다.
이 경우 우선, 부가세가 계산되지 않았다면 불법의 밀수 또는 고금(사용된 금)이 사용된 무자료의 ‘뒷금’의 불법거래의 금입니다. 그리고 금반지의 무게는 저울에 달아 확인할 수 있지만, 순도는 다른 업체에 가서 장비를 통해야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만약 순도가 99.99%짜리라면 금의 일부를 떼어내어 화학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파괴검사’로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금은방에서 제공한 보증서는 “금의 무게와 순도를 보증한다.”라고 말하고 있지만, 만약 보증서의 발행처가 공신력이 없다면 그냥 종이 일 뿐입니다.
따라서, 투자 및 자산보유용의 금, 다시 말해 팔기 쉬운 금을 사고 싶다면 믿을 수 있는 브랜드의 밀봉된 포장의 금을 사던지, 아니면 금을 매입하는 규모 있는 업체의 밀봉된 금을 사는 것이 좋습니다.
금에 있어 ‘공신력 있는 브랜드’는 각 국의 조폐국 또는 LBMA회원업체 또는 유명 금제련소처럼 국제적으로 인지도를 확보한 업체에서 제조한 금이라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판매가 용이합니다. 그리고 조폐국에서 출시하는 금제품에는 골드바와 함께 금투자용으로 제작된 ‘불리온 금화’도 금투자 목적으로 적합합니다.
그리고 ‘밀봉된 포장’의 의미는 조폐국에서 발행한 ‘불리온 금화’를 제외하고 만약 금 판매 시 포장이 뜯겨 있지 않다면 위조의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포장지에는 보통 해당 금제품을 보증하는 무게, 순도, 일련번호, 홀로그램, RF칩 등의 보증장치들이 명기 및 설치되어 있어 거래의 용이성을 한 층 더 높여 줍니다.
따라서 만약10년 전에 구입한 금일지라도 공신력 있는 해외금제련소 또는 조폐국 등에서 판매한 금이고 플라스틱 포장재로 밀봉되어 포장재 상에 중량, 순도, 일련번호, 홀로그램들의 보증사항이 명기되어 있다면 대부분의 경우 중량 및 순도에 대한 의심 없이 용이하게 매각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금을 팔 때에는 네이버 또는 KRX 금시장의 시세를 확인한 후 시세에서 최소한의 수수료를 공제하는 업체를 찾는 것이 좋으며, 매장 또는 사이트 상에 매입가를 공시하는 업체에서 매각하는 것이 더 빠른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 KRX금시장시세: http://data.krx.co.kr/contents/MDC/MDI/mdiLoader/index.cmd?menuId=MDC0201060201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 네이버 금시세: https://m.stock.naver.com/marketindex/metals/M04020000
네이버페이 증권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m.stock.naver.com
대표적인 골드바 및 불리온 금화 판매처
한국조폐공사 : https://www.koreamint.com/goods/category.do?cate=2040
한국조폐공사 쇼핑몰
한국조폐공사 쇼핑몰
www.koreamint.com
삼성금거래소 골드바 : https://ssggold.cafe24.com/product/list.html?cate_no=47
[삼성금거래소 공식몰]
믿을 수 있는 금거래소 / 오늘의 금시세(금값시세) 고시, 은시세, 국제 시세 관련 정보 제공 / 골드바, 실버바, 한국조폐공사 제품 판매
ssgold.co.kr
비엔나 필하모닉 불리온 금화(오스트리아 조폐국): https://www.hwadong.com/new/product/goodsDetail.jsp?Good_id=100118590
화동상품 | 풍산화동양행
홈 > 화동상품 > 불리온·골드바 상품정보 발행국 AUSTRIA 발행년도 2025 년 액면 100 EURO 상태 UNC 품위 金 99.99% 중량 31.1g 크기 37mm 발행수량 - 진품보증 풍산화동양행에서 판매하는 모든 화폐는 별도
www.hwadong.com
중국 판다 불리온 금화(중국 금폐공사): https://www.hwadong.com/new/product/goodsDetail.jsp?Good_id=100118527
https://www.hwadong.com/new/product/goodsDetail.jsp?Good_id=100118527
www.hwadong.com